군무원
-
군무원 근무평정 (평정 작성 부터 확인까지)군무원/군무원 생활 2024. 1. 19. 21:39
군무원으로 일하면서 힘든 시기는 매번 오고, 어려운 순간이 계속해서 올 때가 있다. 나 역시 그랬고, 오늘마저도 힘들었다. 2년 넘게 한 곳에서 같은 보직으로 근무하면서 "그만둬야지.." , "군무원 처우 안 좋다." 이야기 나올 때마다 이건 정말 아니다.. 했지만 뇌는 부정을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이야기처럼 안 좋은 생각을 계속하면 더욱 부정적으로 삶이 바뀌는 게 피부로 와닿았던 거 같다. 내 성격상 아무리 일이 힘들어도 경제적인 대안이나 업무적으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직업이 있는게 아니라면 현재의 일에서 우선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목표에 다가갈 수 있게 하자는 생각을 하는 편이다. 근무평정 이야기를 쓰려다가 이야기가 좀 다른 곳으로 흘렀는데, 계속해서 일을 할거라면 다른 것 보다도 근무평..
-
2024년 군무원 시험일정 공고(원서접수, 자격요건)군무원/군무원 정보 2024. 1. 13. 19:04
2024년도에 군무원 채용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위해 국방부에서 일반 군무원 시험일정을 공지했다. 매년 국방부,육군, 공군, 해군, 해병대가 동시 시험을 진행하고 일정이 동일하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을 취합했다. 2024년 군무원 시험 일정 ->시험공고: 2024.4.12.(금) ->원서접수 기간: 2024.5.6(월) ~ 5.9(목) 매년 동일한 날짜에 전국적으로 동시 실시하는 국방부, 육군, 해군(해병대), 공군중에서 하나의 군만 선택하여서 접수를 해야 하고 2개 이상의 기관이 중복 또는 복수로 응시원서를 접수 할 수 없다. 만약 중복 또는 복수 접수가 확인되면 원서접수 취소 등 불이익 발생한다. 국방부 군무원 채용관리 https://recruit.mnd.go.kr:470/recruit.do 육군 ..
-
군,공무원 업무대행 수당(feat.실제경험)군무원/군무원 정보 2024. 1. 13. 18:20
이제 업무를 한 지 2년 차가 되어가는 시점인데, 아직까지 후임을 받지 못한 아픔이 있다.. 통신직의 경우 그래도 인원 충원이 잘 되는 편인데도 시기가 잘 맞지 않았던 거 같다. 중간에 신입 주무관이 들어왔지만, 부서의 인원을 그대로 차지한 채로 타부서로 전출을 가면서 얼굴도 하루인가 봤던 거 같다. 불행 중 다행인지, 전출 간 주무관이 3개월 정도 일하다가 육아휴직을 내서 쉬고 있다는 정보를 듣게 되었다. 내가 담당하고 있는 부서의 정원은 5명 정도인데 2명정도가 일하고 있었는데, 담당하고 있는 부서의 인원이 '병가, 출산휴가, 유산휴가, 사산휴가'과 같이 휴직 중인 인원이 있을 경우 '업무대행수당'을 받을 수 있다. 제14조의2(업무대행수당) ①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38조의16제2항에 따라 병가, 출..
-
2024 군,공무원 수당변경 사항(초과근무수당,직급보조비)군무원/군무원 정보 2024. 1. 13. 17:51
저 연차일 때 받는 월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초반에 고생을 하기 마련인데, 24년도에 봉급 이외에 다른 수당은 얼마나 올랐는지 개인별로 필요한 항목을 확인해 보면 된다. 금액이 정해진 수당('24년도 기준) -> 정근수당: 1월,7월에 지급되는 수당 :아쉬운 점은 근무연수 1년 미만의 공무원에게는 지급하지 않기 때문에 1호봉으로 임용되는 공무원은 받을 수 없지만, 군필자의 경우 2년의 군생활을 했다고 가정하면 정근수당을 받을 수 있다. 최소 5% ~ 50% 까지 지급을 한다. 1월의 정근수당은 전년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일했을 경우, 7월 정근수당은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1개월 이상의 봉급을 받은 공무원에게 지급 주의할 점은 지급대상 기간 중 징꼐 처분을 받은 공무원은 ..
-
공무원 기여금,납부금액 산정법(feat.기여금특례)군무원/군무원 정보 2024. 1. 13. 16:34
입직하고 나서는 신경을 별로 못쓰다가, 월급 명세서를 받을 때마다 20~30만 원씩 툭 툭 빠져나가는 금액 기여를 내가 한다고 한 적도 없는데.. 매번 빠져 나가고 있는 '기여금' 뭔지도 모른다면 그냥 월급에서 자동으로 빼가는 신경 안써도 되는 존재로 인식할 수 있는데, 기여금을 제대로 알고 나면 꼭 내야지만 나중에 받게 될 퇴직금과 연금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된 다는 걸 알게 된다. 공무원 기여금이란? 기여금이란 퇴직급여와 유족급여 지급에 소요되는 재원으로서, 임용이된 날이 속하는 달부터 퇴직한 날의 전날 또는 사망하는 날이 속하는 달까지 매월 봉급에서 원천징수하는 금액 납부해야 하는 대상 공무원연금법의 적용을 받는 모든 공무원은 기여금 납부 대상자 하지만 기여금에 대한 납부기간이 36년을 초과한 공무원..
-
군,공무원 겸직허가 신청방법(feat.필요한 서류,양식)군무원/군무원 정보 2024. 1. 13. 14:59
나: 공무원이 돈 잘 버는 방법이 있을까요? ???: 시간이 흘러서 호봉 쌓이면 사람다운 월급 받게 된다. 선배 주무관과 봉급에 대한 이야기 중에 나왔던 대화인데, 공무원이 돈 잘 버는 방법은 사실 시간이 해결해 줄 수밖에 없다라고 결론이 났던 슬픈 이야기.. 요즘 23~24년도에 들어오는 신입 분들이 받는 월급도 턱없이 낮기도 하지만, 젊은 분들이 많이 들어오면서 다들 한 번씩은 겸직이나 투잡을 생각하면서 가능한 방법들을 한 번쯤은 생각해 봤을 거 같다. 무턱대고 "안 걸리겠지" , "현금으로 해결하면 괜찮을 거 같다" 라고 생각했다가 징계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아래에 나와있는 내용을 잘 한 번 확인해 보고 정식적인 신청을 해보면 좋을 거 같다. 제30조(영리행위 및 겸직 금지) ①공무원은 공무 이외..